국민톡톡T=김충권 선임기자] 중소벤처기업부 광주전남지방중소벤처기업청은 7일, 창업보육센터의 기능 강화를 위한 ‘특화역량 BI’ 41곳을 추가 선정하고 본격적인 스타트업 맞춤형 지원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창업 초기 기업에 보다 전문적이고 실질적인 보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시행 중이며, 기존의 단순 입주공간 제공을 넘어 기술개발, 판로개척, 인력확보 등 스타트업의 핵심 애로 해결에 집중한다.
2023년 선정된 52개 특화역량 BI는 총 916개의 창업기업을 지원해 평균 매출은 4.3억 원에서 5.3억 원으로, 평균 고용은 4.1명에서 5.2명으로 각각 22%, 28% 상승했다. 이는 전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평균 대비 월등히 높은 수치로, 특화역량 BI 프로그램의 성과를 입증한 사례로 평가된다.
이번에 선정된 BI는 △산학협력형 △산업특화형 △지역거점형 3가지 유형으로 구성되며, 최대 2년간 6억 원의 지원을 받는다. 산학협력형은 대학의 교수진, 장비, 기술 등을 연계해 기술 자문과 멘토링, 공동개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산업특화형은 연구소 및 전문대학 등이 주력산업과 연계한 전문 기술 지원을 강화한다.
지역거점형은 비수도권 창업 인프라를 보완하기 위한 공동 네트워크 형성에 중점을 두며, 컨소시엄 형태로 판로 개척, 수출 지원, 투자 유치 등을 공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 |
중기부에 따르면, 선정된 창업보육센터는 학생 창업동아리, 캡스톤디자인 연계, 현장실습 등 현장 밀착형 창업보육 프로그램도 운영할 예정이다. 조경원 중기부 창업정책관은 “이번 사업을 통해 창업보육센터가 창업기업의 기술·경영을 동시에 지원하는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중기부의 특화역량 창업보육센터 확대는 지역 균형 발전과 창업생태계 활성화의 교두보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